y>
순천언어심리재활센터
  Home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고객문의
  •  
  • HOME > 정보센터 > 공지사항 
[부모교육] hand-out
글번호 4 등록일 2015-03-11
등록자 운영자 조회수 2979명
다운로드

Bobath 치료의 원리

 

1. case by case, 개별적(individual) 치료

- 비정상적 자세 긴장도의 정도: 중(重,severe), 중(中,moderate), 경(輕,mild)

- 그에 따른 분류

: 경직형(spastic), 무정위형(athetosis), 실조형(ataxia), 저긴장형(hypotonia)

- 침범범위: 편마비(hemiplegia), 하지마비(diplegia), 사지마비(quadriplegia)

- 나이, 인지

- 연관된 문제점

: 시각(vision), 청각(auditory), 언어(speech), 지각(perception),

구강운동(oro-motor), 경기(seizure), 감정(emotion)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y) 등

- 가정 환경

- 복지 시스템

- 지역 사회

⇒ Holistic (아이를 전체로 보아라!)

 

 

2. 신경발달적 접근(neuro-developmental approach)

- 신경학적 결손 → 발달의 정상적 과정 방해

(1) 비정상적 자세 긴장도 → 비정상적 자세와 움직임

․한 움직임에는 다양한 여러 협력근 그룹의 협응 필요

․몸 전체의 자세와 움직임 고려

(2) 이차적 증상

예) 근육과 관절의 비정상적 사용이나 비사용 → 구축과 기형

(3) 비정상적 자세 긴장도와 패턴 → 움직임 패턴의 다양성 결여

→ 정형화된(stereotyped) 패턴 → 자세 긴장도 ↑ (악순환)

 

 

3. 정상 발달

정상 발달 연구/ 분석: 다양한 단계에서 무엇을 하는지(what), 어떻게 하는지(how)

⇒ 아이들이 주어진 과제를 수정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되어져야 할 것이 무엇인지 결정

⇒ 과제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들 결정

⇒ 움직임의 질(quality) ↑

* 정상 발달의 필수요소들 *

(1) 정중위 (Mid-line)(대칭symmetry/ 비대칭asymmetry)

(2) 항중력 (anti-gravity)과 중력방향(to-gravity)

(3) 체중지지 (weight bearing), 체중이동 (weight shifting)

(4) 회전(rotation)

(5) 분리된 움직임 (dissociated movement)

(6) 단계적이고 조절된 움직임 (graded & controlled movement)

 

 

4. 자세 긴장도(postural tone)와 패턴(pattern)

 

정상적인                                              비정상적인

움직임패턴 ⇔ 자세긴장도                            움직임패턴 ⇔ 자세긴장도

↕                                                            ↕

정상적인 감각 되먹임                              비정상적인 감각 되먹임

↕                                                             ↕

                     효율적인 과제 수행                          과제수행이 어렵거나 많은 노력을 들임

 

- 비정상적 자세 긴장도 ⇔ 비정상적 움직임 패턴

- 비정상적 자세 긴장도는 아이 발달의 모든 측면에 영향

: 감각-운동(sensori-motor), 인지(cognition), 감정(emotion), 사회성(social) 등

- handling을 통해 비정상적 움직임 패턴을 수정하고 보다 더 정상적인 움직임

패턴을 촉진 → function으로 이어져야 함

 

 

* postural tone(자세 긴장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 *

(1) Level of Arousal (각성 단계)

: 주의(attention), 의지(volition), 동기(motivation), 욕구(desire), 감정(emotion)

(2) Proprioceptive Control (고유수용성 조절)

(3) Muscle Properties (근육의 특성)

① 탄성(elasticity)

② 점성(viscosity)

③ 가소성(plasticity)

(4) Biomechanical (생체역학적)

: 기저면(BOS, Base Of Support), 정렬(alignment),

무게중심(COG, Center Of Gravity)

(5) Feed-forward & Feed-back

 

 

5. 기능적 활동들을 위한 준비

 

- 아이들의 할 수 있는 것(ability)과 할 수 없는 것(inability)을 분석하는 일은

중요하다; how/ why

․기술 획득을 방해하는 것이 무엇인가?

․이것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

․필수적 활동들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가?

 

- “준비(Preparation)”의 중요성

ex) 기능적인 사용을 위해 손을 free하게 하기 위해서 → postural control 선행

더 효과적으로 먹고 마시기, 발성하기 위해서 → head/ trunk control 개선

 

 

6. 감각운동적(sensori-motor) 측면

 

- 움직임이 무엇처럼 느껴지는지(움직임에 대한 감각 sensation of movement)에 대해 알아감으로써 움직이게 됨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 ←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대한 감각

․알게 되고 경험하게 된 것만 기억하고 사용하려 함

․놀이와 활동을 통해 움직임에 대한 정상적인 감각경험을 제공해주고자 함

 

- 감각운동적 수행은 perception, cognition에 영향을 미침

 

 

7. 자세 긴장도의 변화가능성(changeability)

 

- 치료의 기본: 자세 긴장도의 변화를 통하여 아이가 움직이는 방법을 바꾸는 것!

․경직형(spasticity): 긴장도 ↓

․저긴장성(hypotonic): 긴장도 ↑

․무정위형(athetosis) 또는 실조형(ataxia): 긴장도 조절

⇒ 움직임을 조직화하고 조절하는 것을 배우게 됨

 

- 긴장도의 변화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

: 핸들링(handling), 자세잡기(positioning), 도구의 사용과 활동의 방향

 

- 긴장도의 변화 → 구축과 기형의 발달을 막거나 최소화

 

8. 다학문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 - team work

 

우리 아이들에게서 변화를 끌어내는 힘은 치료사나 그 외의 사람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을 포함한 가족들에게 있습니다.

이번 교육을 통해 부모님들께서 작은 변화들에 크게 기뻐하시고, 그런 것들이 모이고 쌓여서 우리 아이들의 것이 되길 소망해봅니다.

2002. 11. 16 물리치료사 정효진

 


이전글 성인언어치료실
다음글 [부모교육] 아이들 습관 들이는 시기
작성자 /
자동글 방지     (자동글 방지 기능입니다.)
내용
댓글달기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협회        엔터소프트
순천언어심리재활센터 순천언어심리재활센터    전라남도 순천시  왕궁길 25, 2층(조례동)   대표. 박현숙
전화. 061-727-7288      팩스. 061-727-7288     이메일. ybcsug@naver.com
Copyright 2015. 순천언어심리재활센터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버전
관리자접속